애플 아이폰은 아이폰 14까지 라이트닝 포트를 통해 충전 뿐만이 아니라 데이터를 전송하였습니다. 라이트닝 포트는 USB2.0 표준을 기반으로 하며,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가 초당 480Mbps입니다. 이 속도는 영상 및 고해상도 사진등을 전송하기에 결코 빠르지 않은 속도 입니다.
유럽연합은 2024년 12월 28일 부로 모든 신규 스마트폰에 USB-C 포트를 의무화 했습니다. 라이트닝 포트로 아이폰만의 악세사리 생태계를 이어가던 애플도 어쩔 수 없이 아이폰 15에서 USB-C 포트를 도입했습니다.
아이폰 15와 아이폰 15 플러스는 포트만 USB-C 모양이지 속도는 USB2.0과 같습니다. 그러니까 라이트닝 포트와 비슷한 속도로 포트 모양이 바뀐것 이외에는 큰 의미는 없습니다. 기존 아이폰 유저라면 사용하던 라이트닝 악세사리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더 좋지 않았죠.
하지만 고속의 USB 3.2 2세대를 적용하는 아이폰 15 프로 이상부터는 아이폰으로 촬영하는 영상을 USB-C 포트에 연결된 SSD에 바로 저장 할 수 있어 아이폰을 이용하여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람들에게 크게 환영 받고 있습니다.
촬영용 전문 케이지를 이용한다면 케이지에 SSD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아이폰만으로 촬영한다면 외장 SSD는 상당히 거추장스럽습니다. 축 늘어진 SSD는 USB라인이 포트에서 빠져나갈 수 있으며 잘못하면 포트가 고장이 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얼마전 부터 아이폰의 맥세이프(MagSafe)에 부착하는 SSD 외장하드가 아이폰 크리에이터를 타깃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여기 몇 가지 제품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M2 SSD를 직접 설치해야 하는 맥세이프 지원 SSD 인크로저를 소개하겠습니다.
Hagibis(하기비스)는 맥도도(Mcdodo)나 베이스어(Beseus)와 비슷한 그럭저럭 괜찮은 USB와 관련된 제품(라인, 허브 등)을 제작 판매하는 중국회사들 중 하나 입니다.
하기비스에서 아이폰 15와 16 그러니까 USB-C 포트가 적용된 아이폰을 위한 맥세이프 지원 SSD 외장 케이스를 판매합니다.
이름은 MC100 입니다.
동그란 모양이 독특한 이 외장 케이스는 NVMe 프로토콜(B+M 키/ M 키) SSD 하드드라이브와 호환됩니다.
케이스 자체가 작고 동그랗기 때문에 2230 사이즈 SSD 드라이브만 넣을 수 있습니다.
사용하는 USB 인터페이스는 USB 3.2 2세대로 최대 속도가 10Gbps 입니다. 이것은 아이폰 15 프로의 USB-C 포트 속도와 같기 때문에 아이폰15 프로 이상과 사용하는데 전혀 모자람이 없습니다.
최대 2TB 용량을 지원한다고하며 모든 USB-C 포트가 있는 컴퓨터와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뭐 이건 당연하겠죠...
국내에서 4만5천원 정도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SSD가 들어있지 않는 케이스 제품입니다.
이름에서도 맥세이프를 이용하는 디스크라는 티를 팍팍내는 MagDisk Pro는 맥세이프 기능을 이용하여 SSD를 아이폰에 고정하는 것 이외에 핸들을 붙일 수 있으며 콜드슈를 제공하여 조명 등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1/4" 나사 홀도 있어 삼각대나 짐벌에 올릴 때 유용하기도 합니다.
아이폰 맥세이프에 붙는 부분은 3D 프린트로 제작되었으며 SSD 케이스는 알루미늄입니다.
역시 USB 인터페이스는 USB 3.2 2세대 최대속도 10Gbps로 아이폰에 사용하기에 문제가 없습니다.
홍콩의 디자인 컨설팅 회사 Thinking Studio에서 기획된 제품으로 4TB까지 용량 지원하며 판매는 SSD를 제외한 MagDisk Pro와 1TB SSD가 설치되어 있는 MagDisk Pro 이렇게 두 가지 버전을 판매하지만 현재는 케이스 버전만 판매 중입니다.
Thinking Studio 홈페이지에서 구입이 가능하며 가격은 399 홍콩달러 입니다.
대만 회사인 팀그룹(TEAMGROUP)에서 만든 PD20M Mag Portable SSD는 세계 최초 맥세이프 호환 외장 SSD라고 홈페이지에 써 있습니다. 역시 아이폰 15 뒤에 딱 붙여 사용할 수 있게 굉장히 작은 크기와 40g 무게의 외장 SSD로 1TB와 2TB 모델 두 가지가 판매되고 있습니다.
위에 제품과 다른 점이라면 USB 인터페이스로 USB 3.2 Gen 2×2를 사용해 파일 전송 속도가 최대 20Gpbs라는 점입니다. 이것은 아이폰15 프로의 포트에서 제공되는 파일 전속 속도보다 빠른데 아이폰에서만 사용한다면 과한 스펙이라고 생각되지만 SSD에 녹화한 영상 또는 사진 파일은 컴퓨터에서 편집 가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빠른 USB-C 포트를 가지고 있는 노트북이나 데스크탑 컴퓨터를 함께 이용하는 사용자라면 고려해 볼만한 제품입니다.
** 이 제품은 현재 국내외에서 구입이 쉽지 않습니다. 만일 구입을 원하시면 비슷한 성능인 노바칩스 제품을 고려해 보세요.
앞서 중국, 홍콩, 대만의 회사 제품을 살펴 보았는데요. 멕세이프에 붙이는 외장 SSD는 우리나라 제품으로도 있습니다. SSD와 카메라용 메모리카드 부분에서 뛰어난 기술을 보여주고 있는 노바칩스의 <익스프레스 포트블 아이폰 맥세이프 SSD>가 그것입니다.
보통 외장케이스에 SSD를 조립하는 형태가 아닌 완성형 외장 SSD는 단일 보드에 납땜 되어 있어 속도와 전력 소비 모두 뛰어납니다.
20Gbps의 고속으로 컴퓨터와 함께 사용할 때 유용하며 견고한 USB-C 케이블 체결방식으로 현장에서 사용할 때 실수로 커넥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SSD와 USB 라인을 함께 보관 할 수 있는 하드파우치를 함께 제공합니다.
1TB 제품은 17만원, 2TB 제품은 39만원, 4TB 제품은 62만5천원입니다.
Hagibis의 MC100과 같이 동그란 모양이지만 이것은 SSD를 조립해 넣을 필요가 없습니다. 단일 칩으로 만들어져 더 높은 성능 내며 더 낮은 전력소비를 합니다. 20Gbps의 속도이며 크기가 매우 작아 아이폰 뒤에 붙여도 크게 성가시지 않습니다.
작고 고성능이지만 가격이 매우 높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1TB 제품이 25만원, 2TB제품이 47만원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홍콩회사로 홈페이지 스토어에서 구입해도 싸지 않습니다.
메모리카드로 유명한 SanDisk에서도 맥세이프 호환 외장 SSD를 내놓았습니다. 눈에 띄는 밝은 파랑색의 이 SSD는 USB 3.2 2세대 USB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10Gbps의 최대 속도를 냅니다.
내구성을 강조하여 최대 3m 낙하 보호 및 IP65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갖추고 있다고 합니다.
SanDisk는 외장 SSD의 속도는 USB 인터페이스 속도에서 제한이 걸리므로 외장 SSD의 성능은 더이상 경쟁력이 될 수 없음을 알고 안전성 및 디자인 및 기능으로 승부를 보고 있는듯 합니다.
1TB는 $109.99에 2TB는 $169.99에 판매할 예정입니다.
이 포스팅을 작성하는 시점에는 아직 판매되고 있지 않았습니다.
ORICO, Fikwot와 그 밖의 다양한 중국 회사에서 저렴한 맥세이프 지원 외장 SSD를 제작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들여다 보면 USB3.0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성능이 매우 좋지 않거나 알 수 없는 SSD를 사용해 안정성에 의심이 가능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5년 보증을 해준다고 하지만 촬영시 문제가 되면 촬영된 데이터를 잃을 수 있습니다. 5년 이내라면 같은 제품으로 교환을 받을 수도 있겠지만 이미 촬영 데이터를 잃고 난 다음입니다. 이런 제품의 구매는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여기서 혼란스러운 분들을 위해 몇 가지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분들을 위한 데이터 입니다. 관심이 없다면 안보셔도 됩니다.
10Gpbs를 우리가 쉽게 이해 가능한 MB/s로 바꾸면 1250MB/s가 됩니다. 이것은 초당 1250메가바이트를 전송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대략 초당 1기가바이트 이상 전송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당연히 20Gbps는 10Gbps의 2배인 2500MB/s 입니다.
USB 버전 | 최대 속도 | 비고 |
USB 1.0 | 1.5 Mbps | Low Speed |
USB 1.1 | 12 Mbps | Full Speed |
USB 2.0 | 480 Mbps | High Speed, iPhone15, iPhone15+ |
USB 3.0 | 5Gbps | SuperSpeed |
USB 3.1 Gen 1 | 5 Gbps | 기존 USB 3.0과 동일, SuperSpeed |
USB 3.1 Gen 2 | 10 Gbps | SuperSpeed+, iPhone15 Pro 이상 |
USB 3.2 Gen 1×1 | 5 Gbps | USB 3.1 Gen 1과 동일 |
USB 3.2 Gen 1×2 | 10 Gbps | USB 3.1 Gen 2와 동일 |
USB 3.2 Gen 2×1 | 10 Gbps | USB 3.1 Gen 2와 동일 |
USB 3.2 Gen 2×2 | 20 Gbps | Type-C 전용 |
USB4 (일부 구성) | 20 Gbps | Thunderbolt 3 호환 가능 |
USB4 (최대 성능) | 40 Gbps | 고성능 케이블 필요 |
Thunderbolt 3/4 | 40 Gbps | USB4와 호환 |
해상도 | 프레임 속도 | ProRes 422 Proxy | ProRes 422 LT | ProRes 422 | ProRes 422 HQ | ProRes 4444 | ProRes 4444 XQ | H.264 | H.265 (HEVC) |
1920×1080 | 30p | 약 45 Mbps | 약 100 Mbps | 약 147 Mbps | 약 220 Mbps | 약 330 Mbps | 약 500 Mbps | 약 8–15 Mbps | 약 4–10 Mbps |
1920×1080 | 60i | 약 45 Mbps | 약 100 Mbps | 약 147 Mbps | 약 220 Mbps | 약 330 Mbps | 약 500 Mbps | 약 12–25 Mbps | 약 6–20 Mbps |
3840×2160 (4K) | 30p | 약 151 Mbps | 약 342 Mbps | 약 492 Mbps | 약 737 Mbps | 약 1106 Mbps | 약 1659 Mbps | 약 30–60 Mbps | 약 15–35 Mbps |
3840×2160 (4K) | 60p | 약 303 Mbps | 약 684 Mbps | 약 983 Mbps | 약 1475 Mbps | 약 2212 Mbps | 약 3318 Mbps | 약 50–120 Mbps | 약 25–60 Mbps |